아스파탐의 유해성과 발암물질 논란

아스파탐의 유해성으로 인한 발암물질으로 많은 논란이 있었다. 특히 WHO 에서 발암 가능 물질로 지정하였는데 아스파탐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감미료란 무엇이면 식품 첨가물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막걸리의 아스파탐

특히 막걸리에 많이 쓰는 감미료이기 때문에 아스파탐의 유해성으로 막걸리 업체들은 타격을 받았고 제로 슈가 제품을 선호하던 소비자 들은 설탕 대신 들어간 감미료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게 되었다.

과거에는 감미료의 일종인 사카린에 대해서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어 한동안 사용 금지된 적이 있으나 다른 연구를 통해 현재는 보편적으로 감미료로 사용되는 화학 물질 중에 하나이다. 이런 인공감미료들은 당장은 아니더라도 언제든지 연구를 통화 아스파탐의 유해성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

아스파탐의 발암물질

아스파탐의 유해성과 사용기준

식품 중에 첨가되는 식품첨가물의 양은 물리적, 영양학적 또는 기타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최소량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식품첨가물 은 식품 제조 가공 과정 중 결함 있는 원재료나 비위생적인 제조 방법을 은폐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아스파탐도 마찬가지로 식품첨가물이기 때문에 막걸리나 음료 등에 아스파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스파탐의 유해성을 걱정하지 않을 만큼의 양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스파탐의 유해성과 부작용

위의 정보에서 아스파탐이란 단맛을 내는 식품 첨가물 즉 감미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도 우리는 음식 제품 섭취 시 무심코 여러가지 식품 첨가물을 섭취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로 확정한 14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는 의견을 공식화했다.

설탕보다 감미도가 200배 높아 소량만 사용해도 단맛을 낼 수 있는 아스파탐의 유해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현재 제로칼로리 음료는 물론 빵류, 과자류, 음료류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아스파탐의 유해성과 발암물질 논란 2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와 WHO·유엔식량농업기구(FAO) 합동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14일(현지시간) 아스파탐의 유해성으로 발암가능물질(발암 위험도 2B군)로 분류한다고 밝혔다. 일일 섭취 허용량은 체중 1kg(킬로그램) 당 40mg(밀리그램)인 기존 기준을 유지했다.

이는 체중 60kg인 성인이 250ml(밀리리터) 제로콜라를 하루에 55캔 먹어야 하는 수준으로, 현실적으로 이 정도의 양을 섭취하기는 쉽지 않다. 국내 아스파탐 평균 섭취량은 해당 일일 섭취 허용량의 0.12%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아스파탐의 유해성은 걱정하지 않을 수준이다.

용도에 따른 식품첨가물의 종류

아스파탐등의 감미료 이외에도 식품에 들어가는 다양한 식품첨가물의 종류가 있는데 어떤 식품 첨가물이 있는지 알아보자.

  • 감미료: 식품에 단맛을 부여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아스파탐 등)
  • 고결방지제: 식품의 입자 등이 서로 부착되어 고형화 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거품제거제: 식품의 거품 생성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껌기초제: 적당한 점성과 탄력성을 갖는 비영양성의 씹는 물질로서 껌 제조의 기초 원료가 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밀가루개량제: 밀가루나 반죽에 첨가되어 제빵 품질이나 색을 증진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발색제: 식품의 색을 안정화시키거나, 유지 또는 강화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아질산나트륨 등으로 햄이나 소시지에 사용)
  • 보존료: 미생물에 의한 품질 저하를 방지하여 식품의 보존기간을 연장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소르빈산, 안식향산 등 간장과 딸기잼에 들어간다)
  • 분사제: 용기에서 식품을 방출시키는 가스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산도조절제: 식품의 산도 또는 알칼리도를 조절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산화방지제: 산화에 의한 식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살균제: 식품 표면의 미생물을 단시간 내에 사멸시키는 작용을 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습윤제: 식품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안정제: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성분을 일정한 분산 형태로 유지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여과보조제: 불순물 또는 미세한 입자를 흡착하여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영양강화제: 식품의 영양학적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제조공정 중 손실된 영양소를 복원하거나, 영양소를 강화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유화제: 물과 기름 등 섞이지 않는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상(phases)을 균질하게 섞어주거나 유지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카제인 나트륨으로 아이스크림과 마요네즈에 들어 감)
  • 이형제: 식품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원료가 용기에 붙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하기 쉽도록 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응고제: 식품 성분을 결착 또는 응고시키거나, 과일 및 채소류의 조직을 단단하거나 바삭하게 유지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제조용제: 식품의 제조·가공 시 촉매, 침전, 분해, 청징 등의 역할을 하는 보조제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젤형성제: 젤을 형성하여 식품에 물성을 부여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증점제: 식품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착색료: 식품에 색을 부여하거나 복원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식용색소황색4호, 캐러멜색소 등 소스류나 떡에 들어감)
  • 청관제: 식품에 직접 접촉하는 스팀을 생산하는 보일러 내부의 결석, 물 때 형성,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입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추출용제: 유용한 성분 등을 추출하거나 용해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충전제: 산화나 부패로부터 식품을 보호하기 위해 식품의 제조 시 포장 용기에 의도적으로 주입시키는 가스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팽창제: 가스를 방출하여 반죽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표백제: 식품의 색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표면처리제: 식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거나 정돈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피막제: 식품의 표면에 광택을 내거나 보호막을 형성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향미증진제: 식품의 맛 또는 향미를 증진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L-글루타민산나트륨(MSG 등으로 각종 조미료에 필수적으로 들어 감)
  • 향료: 식품에 특유한 향을 부여하거나 제조공정 중 손실 된 식품 본래의 향을 보강시키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 효소제: 특정한 생화학 반응의 촉매 작용을 하는 식품첨가물을 말한다.

마무리 – 식품첨가물은 제품에 필수

아스파탐의 유해성

가정에서 요리할 때 식품 첨가물을 넣는 경우는 흔하지 않을 것이다. 위의 자료에 있는 밀가루 개량제를 들어 본 적이 있는지 생각해보라. 이 개량제는 집에서 제빵을 하는 것보다 빵집에서의 빵이 품질이나 색이 더 좋은 이유 이기도 하다.

요리에서 사용하는 제품 속에는 각종 식품 첨가물이 들어 있기 때문에 조미료 등이나 식재료 속에 들어있는 식품 첨가물을 확인하는 것도 요리사로써 좋은 습관일 것이다. 조미료 등의 성분표에는 생각보다 많은 정보들이 들어있다. 나트륨 함량이나 이런 식품 첨가물들을 알고 있으면 요리에 활용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유화제의 원리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