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품종의 세계: 맛과 향, 질감까지 다양한 쌀의 종류

by admin

쌀은 우리나라의 주식 중 하나로, 다양한 요리에 활용됩니다. 그러나 모든 쌀이 같은 것은 아닙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쌀 품종의 맛, 향, 질감을 비교하고, 각 품종이 가지는 독특한 특성을 알아보겠습니다.

마트에서 구매할 때 표시 사항에 품종을 볼 수 있는데 혼합미라고 써있는 경우가 있다. 어떤 종류를 섞어 놓은지를 알 수가 없는 것이 문제이다. 수입쌀과 섞었을 수도 있고 비율도 알 수 없어서 어떤 쌀을 먹고 있는지 모를 수 있다.

정부 보급종 품종 별 특징을 알아보고 쌀 구입 시에 쌀 품종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면 맛있는 쌀을 선택 할 수 있을 것이다.

쌀의 종류와 쌀 품종 분류

쌀 품종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종은 벼의 생육 기간과 재배 조건에 따라 구분되는 벼 품종의 분류이다.

조생종은 생육 기간이 짧고 초기에 수확이 가능한 품종이다.

중생종은 보통 생육 기간이 중간 정도로 소요되는 품종이다.

중만생종은 생육 기간이 길고, 수확이 늦게 이루어지는 품종이다.

고시히카리쌀(조생종)밥맛 우수-초밥용 쌀

고시히카리는 고상한 향과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에게는 강한 향이 느껴질 수 있다.

고시히카리는 밥알이 크고 투명도가 높으며, 쫄깃하고 고소한 식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초밥에 적합하다.

오대쌀(조생종, 고품질(농진청 선정))

오대는 쌀알의 크기가 크고 탄력이 있어 쌀 외관이 양호하고 밧맛이 우수하다. 그러나 찰기가 강할 수 있고, 조리 시간이 다소 길어질 수 있다.

큰 쌀알과 탄력 있는 식감이 특징이다. 집밥에 좋고, 찜, 찌개에 잘 어울린다.

오륜쌀(조생종, 고품질(농진청 선정))

오륜은 작은 쌀알로 부드러운 식감과 고소한 향이 좋다.

하지만 볶음밥을 만들 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운광쌀(조생종, 최고품질(농진청 선정))

운광은 긴 타원형의 밥알이며, 탱탱한 식감과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그러나 밥알이 붙을 수 있으며, 찰기를 선호하는 사람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운광은 밥, 떡국, 죽 등에 사용하기 좋다.

조명1호(조생종, 고품질)

조명1호는 크고 긴 타원형의 쌀알로 쫄깃한 식감과 단맛이 일품이다. 그러나 조리 시간이 다소 길어질 수 있다.

밥, 죽, 덮밥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조영쌀(조생종)

조영은 크고 탄력이 있는 쌀알로 고소한 풍미와 향이 특징이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에게는 향이 강하게 느껴질 수 있다.

누룽지, 죽 등에 사용하기 좋다.

해담쌀(조생종, 최고품질(농진청 선정))

해담쌀은 길며 적당한 찰기와 고소한 향이 특징으로 밥맛이 우수하다. 그러나 찰기를 선호하는 사람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밥, 떡 등에 사용하기 좋다.

알찬미(최고품질 벼, 중생종 외관품위·도정특성 및 밥맛 우수)

알찬미는 길며 적당한 찰기가 있으며 밥이 잘 뜨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찰기가 부족해 보일 수 있다.

밥, 볶음밥, 덮밥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해품(중생종, 최고품질(농진청 선정))

해품은 크고 긴 쌀알로 외관이 우수하면 탱탱한 식감과 고소한 맛이 특징으로 밥맛이 양호하다. 하지만 찰기를 선호하는 사람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밥, 떡볶이 등에 사용하기 좋다.

미품(중만생종, 최고품질(농진청 선정))

미품은 크고 긴 쌀알로 단맛이 풍부하고 찰기가 적당한 특징이 있다. 하지만 찰기를 강하게 선호하는 사람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밥, 죽, 덮밥 등에 사용하기 좋다.

삼광쌀(중만생종, 최고품질(농진청 선정)) -초밥용 쌀

쌀 품종의 세계: 맛과 향, 질감까지 다양한 쌀의 종류 1

삼광은 크고 깨끗한 투명도를 가진 쌀알로 쫄깃한 식감과 은은한 고소한 향이 특징이다. 그러나 밥알이 붙을 수 있으며, 찰기를 좀 더 강하게 선호하는 사람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초밥, 떡, 덮밥 등에 사용하기 좋다.

새누리(중만생종, 고품질(농진청 선정))

새누리는 길며 탱탱한 식감과 스며드는 고소한 향이 특징으로 밥맛이 양호하다. 그러나 약간의 찰기 부족을 느낄 수 있다.

밥, 누룽지 등에 사용하기 좋다.

새일미(중만생종, 고품질(농진청 선정))

새일미는 길고 찰기가 적당하며 고소한 풍미와 단맛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다.

밥, 죽, 떡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됩니다.

새청무(중만생종)

새청무는 길고 탱탱한 식감과 고소한 향으로 밥맛이 우수하다.그러나 일부 사람들에게는 찰기가 부족해 보일 수 있다.

밥, 덮밥 등에 사용하기 좋다.

신동진쌀(중만생종, 고품질(농진청 선정) 중대립종) – 초밥용 쌀

신동진은 부드럽고 찰지며 쌀알에 무광이 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쌀 알도 일반 쌀의 1.3배 정도로 크다. 그래서 찰기를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밥, 초밥 등에 사용하기 좋다.

안평(중만생종, 최고품질(농진청 선정))

안평은 길며 탱탱한 식감과 단맛이 일품인 특징을 가지고 있고 쌀밥이 맛이 있다. 그러나 약간의 찰기 부족을 느낄 수 있다.

밥, 꿔바로우, 볶음밥 등에 사용하기 좋다.

영진(중만생종, 고품질)

영진은 작고 탱탱하며 쌀알에 무광이 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밥맛이 좋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에게는 밥알 크기가 작아 보일 수 있다.

밥, 볶음밥 등에 사용하기 좋다.

영호진미(중만생종, 최고품질(농진청 선정))

영호진미는 작고 탱탱하며 밥이 부드럽고 단맛이 일품인 특징을 가지고 있고 밥맛이 매우 양호하다. 그러나 약간의 찰기 부족을 느낄 수 있다.

밥, 죽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일품(중만생종, 고품질(농진청 선정))

일품은 크고 탱탱하며 바삭한 식감과 고소한 향이 특징으로 고영양에 밥맛이 양호하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에게는 찰기가 부족해 보일 수 있다.

밥, 죽, 덮밥 등에 사용하기 좋다.

참드림(중만생종, 고품질)

적당한 찰기와 단맛, 촉촉한 식감이 특징이며, 쌀알에 무광이 나는 품종이다. 그러나 찰기를 강하게 선호하는 사람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밥, 볶음밥 등에 사용하기 좋다.

추청(중만생종, 고품질(농진청 선정))

추청은 길고 탱탱하며 단맛이 특징이고 쌀 외관이 양호하다.

밥, 덮밥 등에 사용하기 좋다.

쌀 품종의 세계: 맛과 향, 질감까지 다양한 쌀의 종류 2

친들(중만생종)

친들은 찰기가 좋고 고소하며 단맛이 느껴지고 쌀 외관도 양호하고 밥맛도 우수하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에게는 강한 고소한 향이 느껴질 수 있다.

밥, 볶음밥, 떡, 떡볶이 등에 사용하기 좋다.

동진찰(중만생종, 찹쌀)

동진찰은 길며 탱탱한 식감과 조화로운 단맛과 고소한 향이 특징이다.

떡류 가공용으로 좋다.

백옥찰(중만생종, 찹쌀 특성 양호)

백옥찰은 길며 찰기가 적당하며 동진찰벼의 약점을 해결한 품종이다.

밥, 덮밥, 떡 전반에 사용하기 좋다.

수광(중만생종, 고품질)

수광은 작고 탱탱하며 쌀알에 무광이 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에게는 밥알 크기가 작아 보일 수 있다.

밥, 죽 등에 사용하기 좋다.

결론

쌀 품종에 따라 맛, 향, 질감이 크게 다릅니다. 이러한 특성을 알고 있다면, 요리나 식사를 더욱 풍성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다양한 쌀 품종을 시도해보고, 자신이 좋아하는 품종을 찾아보세요.

쌀 씻는 법: 오래 씻으면 찰기가 사라질까?

error: Content is protected !!